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olicy Studies

QUICK MENU
  • LOGIN
  • Sitemap
  • Korea Univ.
  • Student Council
  • Alumini Association
  • Library
  • KUPID
  • 한국어

글로벌정치학과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설명
전공필수 PSB 600 논문지도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학위논문을 작성한다.
PSB 601 현대비교정치이론 비교정치분야에서 다루는 주요 이론들의 소개를 통해 정치체제와 정치과정, 국가와 사회의 역동적인 상호관계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한다
PSB 602 아·태지역론 아태지역을 하나의 학문적 분야로 설정해 이를 보다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소개하고 설명한다.
PSB 700 논문세미나 논문의 주제선정과 문헌 및 자료활용에 관련된 지도를 받는다.
전공선택 PSB 611 한국 정부론 해방 후 한국정부의 수립과정을 비롯한 역사적 전개과정, 구조적 특징 등의 분석을 통해 한국정치와 민주주의 발전과정을 이해한다.
PSB 612 한국 정당론 정당과 정당체제의 연구를 통해 한국정치를 접근한다. 한국정당정치의 역사적 전개, 구조적 특징, 발전 패턴 등이 다루어진다.
PSB 613 북한 정부론 해방 후 북한정부의 수립과정을 비롯한 역사적 전개과정, 그 구조적 특징 등의 분석을 통해 북한정치를 이해한다.
PSB 620 동남아정치론 ASEAN 국가들을 제외한 동남아 국가들의 정치체제를 이해한다.
PSB 625 한국 정치론 한국정치를 시기별, 분야별로 나눠 개괄적으로 비교 고찰한다.
PSB 626 아·태 정치론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경제문제를 이슈별로 분석 정리한다.
PSB 627 아·태지역신의제 연구 아태지역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중심적인 정치사회적의제들을 분석한다.
PSB 628 남북관계론 남북한 관계의 변화과정을 역사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다.
PSB 629 미국의 정치와 사회 미국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0 러시아의 정치와 사회 러시아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1 일본의 정치와 사회 일본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2 중국의 정치와 사회 중국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3 캐나다·호주·뉴질랜드 정치연구 이들 지역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4 중남미의 정치와 사회 중남미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5 중동의 정치와 사회 중동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6 중앙아시아 정치론 중앙아시아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7 동아시아 정치론 동아시아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38 동북아시아 정치론 변혁기의 동북아정치를 분석 정리한다.
PSB 639 북한정치론 북한의 대내외정치를 분야별로 분석 정리한다.
PSB 640 동북아 특수문제 연구 동북아지역의 특수문제를 선별하여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41 유럽의 정치와 사회 유럽의 정치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한다.
PSB 644 리더쉽연구 현대정치과정에서의 중심적인 부문인 리더쉽에 대한 종합적 정리
PSB 645 매니페스토 연구 현대정치과정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한 이해
PSB 646 현대정치와 민족문제 현대정치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는 민족과 민족문제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고 아태지역 각국의 민족문제의 사례를 분석한다.
PSB 647 비교정치론 비교정치에 관한 이론을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국가, 정당, 선거, 민주주의, 노동, 복지국가, 경제발전 등의 주제를 각국의 사례와 결부시켜 분석한다. 본 수업은 강의와 세미나의 형태를 병행한다.
PSB 648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본 과목은 정당, 정당체계, 선거제도 등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아태지역 국가 중 미국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고양시키고자 한다.
PSB 649 민주주의론 민주주의의 주요 이론과 제도적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과 미국 등의 사례를 통해 민주주의의 실제 운영과 행위자들 간의 동학을 연구한다.